혜화문

혜화문 혜화문 혜화문

혜화문

서울성곽 북동방에 설치한 ‘동소문(東小門)’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

지도보기

1397년(태조 5) 한양도성을 쌓을 때 도성의 북동쪽에 설치한 문으로 동소문(東小門)이라고도 한다. 당시 도성에는 사대문(四大門)인 숭례문(남대문), 흥인지문(동대문), 숙정문(북대문), 돈의문(서대문)과 사소문인 광희문(남소문), 혜화문(동소문), 창의문(북소문), 소의문(서소문)이 세워졌다.

혜화문이 세워질 때 이름을 홍화문(弘化門)이라 하였다가 1483년(성종 4) 새로 창건한 창경궁의 동문을 홍화(弘化)로 정하면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1511년(중종 6) 혜화로 고쳤다. 1684년(숙종 10) 문루(門樓)를 새로 지었다. 당시 북대문인 숙정문은 일반인의 통행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 문은 양주·포천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도시계획과 혜화동과 돈암동 사이의 전차길이 나면서 멸실되었다. 1975년부터 시작되어 1980년에 완공된 서울성곽의 일부로 1992년에 복원하였다. 사적제10호 한양도성의 일부이다.

담당자 정보

  • 정보제공부서 문화체육과
  • 전화번호02-2241-2652
  • 팩스번호02-2241-6536
  • 최종수정일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