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곶이역 7번출구와 8번사이에는 동명의 유래에 대하여 알 수 있는 돌곶이 유래비가 위치하고 있다. 천장산의 지맥이 돌들이 박혀있고 그 모양이 마치 수수팥떡이나 경단을 꿰어놓은 듯하다고 하여 이 지역 동네이름을 ‘돌곶이 마을’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그것을 한자로 돌 석(石)자와 꿸 관(串)자를 사용하여 석관이라고 한 것이 석관동 동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출처 - 성북마을아카이브
2석관동 도당
석관파출소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는 석관동 도당은 민속신앙의 종교시설로써, 도당은 주로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 혹은 신을 모신 당집을 의미한다. 석관동 도당에 모셔져 있는 신은 천장산의 산신인데 중랑천을 사이에두고 봉화산신은 ‘도당할아버지’이고 천장산신은 ‘도당할머니’로 인식되어 이 지역의 수호신으로서의 여신으로 모셔졌다. 도당 안에는 신주 대신 항아리에 벼를 가득 넣고 짚으로 땋은 주저리로 덮어 놓았는데 주시이 여신이었음과 이 마을의 주업이 농업으로써 풍농을 기원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출처 - 성북마을아카이브
3의릉 역사문화관
2023년 6월 21일 개관한 의릉 역사문화관은 방문객들이 의릉의 역사와 변천과정, 세계유산의 가치를 전시로 관람하고 휴식도 취할 수 있도록 ‘의릉알아보기’,‘세계유산 조선왕릉’,‘소통마당’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의릉에 관련된 설명자료와 영상관람을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릉의 석물의 축소모형을 직접 만져보며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있다.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4의릉
조선시대 경종과 그의 계비 선의왕후 어씨가 잠들어 있는 의릉은 좌우로 봉분을 조성한 다른 능과 달리 왕과 왕비의 봉분을 앞뒤로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석물은 작고 간소해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1시간 정도 걸리는 의릉 산책로는 한적해서 명상을 하면서 둘러보기 더 없이 좋고 아이들에게도 훌륭한 교육현장으로써도 가치가 있다.
출처 - 성북100경
4(구)중앙정보부 강당
분단 이래 남북 당국자간의 첫 대화로 역사에 기록된 7·4남북공동성명 발표가 있었던 장소이다. 당시 서울 이문동 중앙정보부 종합청사 강당으로 중앙정보부 가운데에서도 가장 안쪽에 위치하여 있다. 1962년 의릉 내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서면서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되었다가 43년만인 2005년 5월 1일 산책로와 함께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이 강당은 원래 철거될 예정이었지만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한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문화재 제92호로 지정하여 보존되고 있다.
출처 - 성북100경, 사진 국가문화유산포털
5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예술인이 되기를 원하는 재능 있는 젊은이들에게 보다 수준 높고 체계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부가 1993년 3월 국내 최초로 음악,연극,영상,무용,미술,전통예술 등 6개 예술 실기를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한국종합예술학교를 설립하였다. 일반대학보다 입학 정원이 적은 소수정예를 표방하고 있으며, 남다른 입시 전형과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개교한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졸업생들이 예술계 각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치며 예술계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석관동 코스
(집결지)
(구 중앙정보부 강당 포함)
출발
1돌곶이유래비
돌곶이역 7번출구와 8번사이에는 동명의 유래에 대하여 알 수 있는 돌곶이 유래비가 위치하고 있다. 천장산의 지맥이 돌들이 박혀있고 그 모양이 마치 수수팥떡이나 경단을 꿰어놓은 듯하다고 하여 이 지역 동네이름을 ‘돌곶이 마을’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그것을 한자로 돌 석(石)자와 꿸 관(串)자를 사용하여 석관이라고 한 것이 석관동 동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출처 - 성북마을아카이브
2석관동 도당
석관파출소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는 석관동 도당은 민속신앙의 종교시설로써, 도당은 주로 서울과 경기 지방에서 마을을 수호하는 수호신 혹은 신을 모신 당집을 의미한다. 석관동 도당에 모셔져 있는 신은 천장산의 산신인데 중랑천을 사이에두고 봉화산신은 ‘도당할아버지’이고 천장산신은 ‘도당할머니’로 인식되어 이 지역의 수호신으로서의 여신으로 모셔졌다. 도당 안에는 신주 대신 항아리에 벼를 가득 넣고 짚으로 땋은 주저리로 덮어 놓았는데 주시이 여신이었음과 이 마을의 주업이 농업으로써 풍농을 기원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출처 - 성북마을아카이브
3의릉 역사문화관
2023년 6월 21일 개관한 의릉 역사문화관은 방문객들이 의릉의 역사와 변천과정, 세계유산의 가치를 전시로 관람하고 휴식도 취할 수 있도록 ‘의릉알아보기’,‘세계유산 조선왕릉’,‘소통마당’ 세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의릉에 관련된 설명자료와 영상관람을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릉의 석물의 축소모형을 직접 만져보며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있다.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4의릉
조선시대 경종과 그의 계비 선의왕후 어씨가 잠들어 있는 의릉은 좌우로 봉분을 조성한 다른 능과 달리 왕과 왕비의 봉분을 앞뒤로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석물은 작고 간소해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데, 1시간 정도 걸리는 의릉 산책로는 한적해서 명상을 하면서 둘러보기 더 없이 좋고 아이들에게도 훌륭한 교육현장으로써도 가치가 있다.
출처 - 성북100경
4(구)중앙정보부 강당
분단 이래 남북 당국자간의 첫 대화로 역사에 기록된 7·4남북공동성명 발표가 있었던 장소이다. 당시 서울 이문동 중앙정보부 종합청사 강당으로 중앙정보부 가운데에서도 가장 안쪽에 위치하여 있다. 1962년 의릉 내에 중앙정보부가 들어서면서 일반인의 접근이 금지되었다가 43년만인 2005년 5월 1일 산책로와 함께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이 강당은 원래 철거될 예정이었지만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한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문화재 제92호로 지정하여 보존되고 있다.
출처 - 성북100경, 사진 국가문화유산포털
5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예술인이 되기를 원하는 재능 있는 젊은이들에게 보다 수준 높고 체계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부가 1993년 3월 국내 최초로 음악,연극,영상,무용,미술,전통예술 등 6개 예술 실기를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한국종합예술학교를 설립하였다. 일반대학보다 입학 정원이 적은 소수정예를 표방하고 있으며, 남다른 입시 전형과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다 개교한지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졸업생들이 예술계 각 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치며 예술계에서는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출처 - 성북마을아카이브, 성북100경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