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안내

건강도시

건강도시 성북

건강도시 개념

건강도시 정의

건강도시란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을 창의적이고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아가는 가운데,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지역사회의 참여 주체들이 상호협력하며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도시를 말한다.(세계보건기구,2004)

건강도시 목적

도시의 건강과 환경을 개선하여 도시 주민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함이고, 이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모든 인류에게 건강을 (Health for All)"을 달성하려는 데 있다.

건강도시 특징

건강도시 프로젝트의 주요 특징은 각 분야 간의 협력, 적극적인 시민들의 참여, 생활터전의 활동적 통합, 건강 프로필과 지역 활동 계획의 개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참여적 연구와 분석, 정보 공유, 대중매체의 참여, 사회 내 모든 집단의 취합, 지속 가능성, 인적자원과 사회의 개발의 연계, 국가와 국제적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건강도시 추진경과

건강도시 추진경과 - 연도,추진 내용에대한 정보제공
연도 추진 내용
2006년 건강도시 성북 기반 조성
  1. 1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WHO 서태평양지역 건강도시 가입
  2. 2건강도시 기본조례 제정 및 건강도시운영위원회 구성
2007년 주민참여형 건강마을 만들기 사업 시행 : 상월곡동(월곡2동)
2008년 3대가 함께하는 건강마을 만들기 사업 - 어르신 건강마당 조성
2009년 성북건강비전 2020수립, 건강도시 성북 국제컨퍼런스 개최
2010년 성북 마이너스 93 프로젝트 개발 시행
2011년 성북 마이너스 93 프로젝트 실시, 성북구민 건강주간행사 개최
2012년 삼태기 건강마을 만들기 사업 시행 ,서울특별시 공모 선정
2013년 민간주도 성북구민 걷기대회 개최
2014년 걷기운동 인프라 구축(건강계단, 걷기코스 개발, 도보환경 개선)
2015년 장위동 걷고 싶은 건강계단 사업 시행 , 서울특별시 공모 선정
2016년
  • 대한민국 건강도시 어워드 수상(삼태기마을 조성사업)
  • 장위동 걷고 싶은 건강계단 조성

건강도시 주요 추진사업

건강한 공공정책 수립

  • 성북구 건강도시 기본조례(건강도시운영위원회 구성)
  • 건전한 음주문화 환경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
  • 금연 환경조성 및 간접흡연 피해방지 조례
  • 아토피성 질환 예방관리 등 지원에 관한 조례

지역사회 참여 및 교류

  • 성북구 걷기동아리 운영
  • 걷기동아리 네트워크망 구축(온라인 카페 운영 등)
  • 서태평양건강도시연맹(AFHC),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KHCP) 회원도시 활동
  • 관내 걷기지도자 관리 및 프로그램 강사 연계

건강한생활환경 조성

  • 맞춤형 통합건강관리를 위한 정릉아동보건지소, 장위‧석관보건지소 설치
  • 상월곡동 삼태기 건강마을 조성
  • 실내 외 걷고 싶은 건강계단 조성
  • 공중이용시설 및 금연구역 지도점검

건강생활 프로그램 운영

  • 성북구 걷기동아리 걷기운동교실 운영
  • 걷기 프로그램 운영 (9988 어르신 건강걷기‧토요힐링숲‧1530 걷기 캠페인)
  • 바른식생활 교육 및 영양플러스 사업 운영
  • 신체활동 및 비만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
  • 금연클리닉 운영 및 흡연 예방교육 실시
  • 생애주기별 음주에방(절주) 교육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