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기업이란

마을기업

지역공동체에 산재한 각종 특화자원(향토, 문화, 자연자원 등)을 활용 주민주도 (소규모공동체)의 비지니스를 통해 안정적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그간의 마을 만들기 사업등은 관주도 지원방식으로 추진되어 불필요한 사업추진 및 서비스 과잉공급 등이 초래되었습니다. 우리 성북구 행정에서는 최소한의 주도로 간접적 지원을 통해 주민주도의 내실 있는 경영을 통해 지역문제와 과제를 해결해 나가고자 합니다.

사업개요

  • 사업기간 연중(12개월)
  • 사업재원 행정안전부 국비/시비/구비 매칭사업
  • 참여대상 지역주민 5인이상
  • 사업비 지원 1년차 - 5천만원 이내, 2년차 - 3천만원 이내, 3년차(고도화) - 2천만원 이내

사업발굴

지역 자원, 수요에 기반을 둔 특성 있는 사업발굴

  • 지역에 산재해 있는 각종자원(향토/관광/문화/자연자원 등)을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주민 필요에 의해 주민주도로 개발 → 10년 향토자원 조사를 통해 발굴된 지역 자원 활용
  • 민간시장이나 행정서비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다품종 소량 서비스 등 보완적 틈새사업 발굴 → 저소득 취약계층, 재래시장 등 중소상인들에게 많은 기회와 이익이 제공되는 사업 발굴

발굴 대상사업 [대상사업(예시)]

발굴대상사업-대상사업예시 [마을기업 발굴 대상사업 및 주요사업내용]
구분 사업내용
지역자원 활용형 공동체사업
  • 재래시장/상가 활성화사업
    • 구도심 및 재래시장 상가의 수익사업 모형 개발을 통해 해체위기의 지역상권 복원 및 안정적 일자리 창출 예시) 강원 동해 '동해 중앙시장 배송센터' 설치
  • 공공부문 위탁사업
    • 지역축제, 공원관리,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학교급식 등을 지역주민 주도의 비즈니스로 확대 활용
친환경/녹색에너지 공동체사업
  • 쓰레기/폐기물 처리 및 자원재활용 사업
    • 음식쓰레기, 폐자원(헌옷, 폐금속, 폐식용유, 장난감 등) 재활용 등 친환경 녹색사업 예시)경기 하남시 폐장난감 및 어린이 도서 재활용 '하남장난감 도서관' 운영
  • 태양열/자전거활용 등 녹색에너지 실천 사업
    • 녹색성장 자연에너지 및 자전거이용 활성화 등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생활 속에서 실천 예시) 제주 화순리 주민회 '번내태양광 발전주식회사' 운영
생활지원/복지형 공동체사업
  • 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사업
    • 기초수급자, 독거노인 등에 대한 복지/간병 등 사업
    • 저출산 고령화시대를 맞아 방과후 아이 돌보미사업 등 중점추진 예시) 경기 오산 '뷰티풀 휴 세탁소', 정신지체 장애자 일자리(6개)창출
  •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 다문화가족이 직접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사업 집중 추진 예시) 경남 하동 이민여성 9명 참여, '한구자리 채울' 다문화 음식점 운영, 통번역, 이주 여성 정착 지원
지역자원 활용형 공동체사업
  • 지역특산품/자연자원 활용사업
    • 지역관광, 농촌체험, 전통공예 등 지역특화 아이템 발굴/추진
    • 지역자원 및 특화브랜드 개발/홍보 등 커뮤니티 마케팅 추진 예시) 전북 완주 '건강밥상' 1000꾸러미 사업

마을기업 선정 절차

  • 사업공모 및 접수 후 현장조사
  • 심사위원회 구성, 운영 (민관 합동위원으로 구성)
  • 1차 심사(구청) 후 시에 추천, 2차 심사(서울시) 후 행정안전부에서 최종 선정
  • 약정체결(구청) 및 보조금 지급

마을기업 신청 및 접수문의

  • 연 1회 공모사업
  • 성북구청 지역경제과 02-2241-3893

담당자 정보

  • 정보제공부서 지역경제과
  • 전화번호02-2241-3893
  • 팩스번호02-2241-6575
  • 최종수정일2024.10.26